객사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와 궁궐을 상징하는 궐패를 모시는 곳으로, 관아를 방문하는 관리나 사신들이 머물기도 하였다.
※ 조선시대 읍치(지방도시)
- 자연재해의 피해가 적고, 풍수적으로 하자가 없는 등의 다양한 지형조건을 고려하여 자리잡았다.
- 토지신과 곡식신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사직단을 두었다.
- 향교는 문묘 제도에 따라 지방군현에 획일화된 형태로 도입되었다.
- 성황단과 여단을 설치하였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용도지역의 지정)
1. 도시지역: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2. 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계획관리지역
3. 농림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