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S 직무수행능력검사란 산업현장에 무수히 많은 직무들이 존재하는데 그 직무별로 필요한 역량을 정의하고,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지식,기술,태도)을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이다.
이 검사의 세분류별 직무수행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화학물질분석
2. 화력발전설비운영
3. 환경관리
이 검사의 문항(객관식 15문항)은 상기 세분류별 직무수행내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해당 직무전문가가 개발하여 2017년 상반기에 실제 시험을 본 문제들을 재구성한 것이다.
*모바일 m.gongibob.com에서도 시험응시 및 해설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객관식 4지선다형 15문항 15분 2회 다운로드 상 40%, 중 40%, 하 20% 화학공학 14,900원 (정가: 45,000원)
화학물질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의 종류를 알고 분석 과정에서 사용된 화학물질의 사용 이력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은 화학물질 분석 담당자에게 매우 중요한 수행능력 중의 하나이며, 이를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 화학물질관리 플로우챠트는 화학물질 승인절차, 구매의뢰, 관련자료 수집, 등록업무 수행, 구매, 입고/저장/보관, 사용 및 관리의 순서대로 행한다. 각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은 해당 NCS 세분류에 해당하는 학습모듈 06. 문서관리(p.26)를 참조하면 된다. 제품 개선 및 신제품개발 등으로 신규화학물질 사용이 예상 될 경우 구매를 의뢰한 후 관련 자료를 수집해서 이 신규화학물질의 사용이 적합한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 단계이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폐유, 폐산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 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지정 폐기물이라고 한다.
지정 폐기물은 불법 처리를 막기 위해 전표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전표 제도란, 전표를 통해 산업체에서 발생부터 최종 처리 과정까지 관리하는 것이다. 실험실 폐기물은 다음과 같다. 각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은 해당 NCS 세분류에 해당하는 학습모듈 08. 환경관리(p.55)를 참조하면 된다.
(1) 폐산 (2) 폐알칼리 (3) 폐유 (4) 폐유기 용제(할로겐족, 비할로겐족) (5) 폐합성고분자화합물(폐합성수지, 폐합성고무, 폐페인트 및 폐래커) (6) 폐석면 (7) 슬래그(광재) (8) 분진 (9) 폐주물사 및 샌드블라스트폐사 (10) 폐내화물 및 재벌구이 전에 시유된 도자기편류 (11) 소각잔재물 (12) 안정화 및 고형화처리물 (13) 폐촉매 (14) 폐흡착제 및 폐흡수제 (15) 폐농약 (16) 폴리염화비페닐 함유 폐기물(액상의 것, 액상 외의 것) (17) 슬러지(폐수처리 슬러지, 공정 슬러지) (18) 기타(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유해한 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이 지정ㆍ고시하는 물질을 함유한 것에 한함) 등이다.
따라서 ⓕ 폐지 및 ⓒ는 중화된 폐수이므로 지정폐기물에 속하지 않는다.